2018. 3. 14. 10:30ㆍ재테크
부동산에 대해 공부하다보면 가장 많이 따지게 되는 것이 바로 '용적률'입니다.
집 구매 시 융적률을 따지는 이유는 융적률이 좋아야 재건축 시 유리하기 때문입니다. 융적률이 좋다는 것은 거꾸로 대지지분을 많이 가져간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입니다.
실제 재건축 등을 할 경우 건축물은 허물고 땅의 지분을 가지고만 이야기 하게 되기 때문에 대지지분을 얼마나 많이 가지고 가느냐는 매우 중요합니다.
네이버부동산에 용적률이 안나와 있는 것들도 있다
그러나 용적률을 보려고 하더라도 네이버부동산이나 다음부동산에서는 용적률/건폐율이 잘 나오지 않습니다. 부동산에서 입력을 잘 하지 않기 때문이지요. (일하라 부동산!!!)
네이버 부동산에서 매물세부정보란의
서울시 건축물대장 정보 클릭
이를 위해서는 하단의 매물세부정보의 서울시 건축물대장정보를 클릭해보시기 바랍니다.
서울시 건축물대장 정보
그러면 이렇게 용적율 정보가 나오는 곳도 있습니다.
그러나 문제는 네이버부동산 다음부동산 등 부동산 사이트에서 용적률이 나오지 않고, 서울시 건축대장에서도용적율이 나오지 않을때가 있습니다.
이 때 정보를 찾는 법은 다음에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오늘은 용적률 계산법에 집중을...)
융적률이란 것은 사실 어렵지 않습니다.
융적률이란, 지어진 건축물 내의 바닥면적을 모두 합친 면적(연면적)에 대한 대지면적에 대해 백분율 한 것을 말합니다. (말이 좀 어렵죠?)
아래 계산식으로 풀어보겠습니다.
용적률 계산식 :
용적률(%) = (건축물 각 층마다의 바닥면적 / 대지면적) * 100
* 여기서 중요한 것은 지하층이나 지상에 있는 주차장의 면적은 용적률에 산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부속용도인 베란다 부분도 용적률에는 대부분 포함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융적률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건폐율에는 포함됩니다. (앗! 새로운 용어 건폐율이...)
건폐율이란, 대지 면적에 대한 건축되는 땅의 면적에 대해 백분율한 것을 말합니다.
건폐율 계산식 :
건폐율(%) = (건축면적 / 대지면적) * 100
아래는 일반 2종 주거지역 용적률 계산법입니다.
대지면적은 100㎡로 일반2종 주거지역(용적율 250%이하, 건폐율 60% 이하, 7층 이하지역)을 기준으로 계산해 보겠습니다.
지상 1층 필로티 주차장, 지상 2층부터 5층으로 신축할 경우를 고려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주차장 주차수는 일단 고려하지 않았습니다.)
건축면적 계산 시 건폐율을 처음부터 고려하여 계산하시면 쉽습니다.
1. 건축면적 : 대지면적(100㎡)*건폐율(60%) = 60㎡
2. 연면적 : 300㎡ (건축면적*층수 = 60㎡ * 5층)
3. 용적율산정용연면적 : 300㎡ - 60㎡ = 240㎡ (총연면적(300)-지하주차장(60))
4. 용적율 : 용적률산정용연면적(240㎡) / 대지면적(100㎡)*100 = 240 %
* 이와는 별도로 6층으로 만든 후 2층~4층은 크기가 동일하게 5층과 6층의 크기를 작게 만드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래서 빌라나 상가들 보면 위쪽에 꺽여지는 집들이 생기는 겁니다. ㅡOㅡ;;;)
용도지역 별 건폐율 및 융적률 관리표
용도지역 |
건폐율 |
용적률 |
|||||
법 |
대통령령 |
법 |
대통령령 |
||||
도 |
주 |
전용 |
1종 |
70% |
50% 이하 |
500% |
50% 이상 100% 이하 |
2종 |
100%이상 150% 이하 |
||||||
일반 |
1종 |
60% 이하 |
100%이상 200% 이하 |
||||
2종 |
150%이상 250% 이하 |
||||||
3종 |
50% 이하 |
200%이상 300% 이하 |
|||||
준주거지역 |
70% 이하 |
200%이상 500% 이하 |
|||||
상 |
중심상업지역 |
90% |
90% 이하 |
1500% |
400%이상 1500% 이하 |
||
일반상업지역 |
80% 이하 |
300%이상 1300% 이하 |
|||||
유통상업지역 |
200%이상 1100% 이하 |
||||||
근린상업지역 |
70% 이하 |
200%이상 900% 이하 |
|||||
공 |
전용공업지역 |
70% |
70% 이하 |
400% |
150%이상 300% 이하 |
||
일반공업지역 |
200%이상 350% 이하 |
||||||
준공업지역 |
200%이상 400% 이하 |
||||||
녹 |
보전녹지지역 |
20% |
20% 이하 |
100% |
50%이상 80% 이하 |
||
생산녹지지역 |
50%이상 100% 이하 |
||||||
자연녹지지역 |
|||||||
관리 |
계회관리지역 |
40% |
40% 이하 |
||||
생산관리지역 |
20% 이하 |
80% |
50%이상 80% 이하 |
||||
보전관리지역 |
|||||||
농림지역 |
20% |
||||||
자연환경보전지역 |
* 다음에는 네이버부동산 및 다음부동산에서 대지면적 등 기본정보도 안나왔을때 찾는 방법에 대해서 작성해 보겠습니다.
관련글 :
2018/03/10 - [재테크] - 2018년 부동산 전망
2018/03/09 - [재테크] - 부동산 구매시 알면 유용한 사이트 (2018.03.11 UPDATE)
2018/03/11 - [이런거 써봤나?] - 호갱노노 - 다양한 부동산 정보를 한눈에 쏙쏙
2017/04/12 - [독서 소감] - 나도 월세부자가 되고 싶다 후기
2017/04/18 - [독서 소감] - 아파트 제대로 고르는 법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주 운정의 집값 어떻게 될까...? (현재 파주 운정역 및 야당역 부근에 추가 호재가 있을까...?) (2) | 2018.03.23 |
---|---|
일산 집값 어떻게 될까...? (일산 부동산 호재가 있을까...?) (0) | 2018.03.21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개념 및 운임요금 소개 (0) | 2018.03.16 |
2018년 부동산 전망 (8) | 2018.03.10 |
부동산 구매시 알면 유용한 사이트 (2018.03.24 UPDATE) (0) | 2018.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