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의 2018년 중소·중견기업의 중장년 채용계획 및 채용인식 실태조사를 보면서...

2018. 6. 20. 07:30주저리주저리

반응형

전경련에서 '중소·중견기업 중장년 채용계획 및 채용인식조사를 발표하여 그 내용을 찾아보았다.

여기서 중장년의 기준은 40대 이상을 이야기 한다.


해당 내용은 빠른 은퇴(또는 미니 은퇴) 후에 재취업 시 기업의 채용의지와 대응에 대해 사전에 생각해 볼 수 있기 때문이었다.

채용계획에서 채용의지에 대해 

채용계획이 있다가 76.7%로 채용계획이 없다 23.3%에 크게 앞서 있다.

단, 2017년 조사에서는 채용계획이 있다. 54.7%, 없다가 19.8% 모르겠다가 25.5%로 모르겠다라는 항목이 없어지며 채용계획이 있다로 선택된 듯 하다.

그래도 최소 반 정도의 회사가 채용계획은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채용 분야는

 구분

연구 기술

생산 및 품질관리 

 영업 및 마케팅

 사무 관리

 단순 노무

 2018년

  21.3% (▲)

 17.9% (▽)

 15% (▲)

 19.3%(▽)

 26.6% (▲)

 2017년

 18.9%

 19.9%

 14.6%

 22.5%

 24.1%

으로 연구기술분야가 크게 상승했으며 영업 및 마케팅과 단순노무는 조금 상승하였고 사무관리는 크게 하락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채용 직급에 대해서는

구분  

 사원 대리급

 과차장급

 부장급

 임원급

 직급없음

 2018년

 23.8%

 21.6%

 19.5%

 13.5%

 21.6%

 2017년

 30.3%

 29.2%

 18.2%

 5.4%

 17.0%

였다. (2017년 내용은 하단의 2017년 조사의 개별 응답수를 합계하여 평균값을 내었다.)


2017년 조사는 상세 분야별 조사로 되어 있었다. 다시 풀어보면...

구분 

 사원 대리급

 과차장급

 부장급

 임원급

 직급없음

 연구 기술

11.4%

41.8%

32.3%

7.5%

7%

 생산 및 품질관리

37.9%

30.3%

10.9%

1%

19.9%

 영업 및 마케팅

17.4%

37.4%

23.3%

10.3%

11.6%

 사무 관리

21.4%

35.7%

26.9%

9.7%

6.3%

 단순 노무

54.7%

7.4%

2%

0.4%

35.5%

였다.


대부분 원하는 직급은 과·차장급으로 실무일을 잘 처리 할 사람을 찾는다고 보아도 될 것 같다.


채용연령대는 2017년과 2018년 조사값이 상당히 차이가 나는 상태이다.

 구분

 40대 이상

 50대 이상

 60대 이상

-

 2018년

 41.1%

44.2% 

14.4% 

0.3% (70대) 

 2017년

 67.6%

17.2% 

1.5% 

13.7% (상관없음) 

개인적으로 갑자기 40대보다 50대 이상을 원하게 되었다고 생각되지는 않는다.

오히려 직종별로 원하는 나이가 차이가 있을 것이라 생각했는데..


 구분

 40대 이상

 50대 이상

 60대 이상

 상관없음

 연구기술

 68.2%

 19.9%

 1.5%

 10.4%

 생산품질

 71.6%

 13.7%

 1%

 13.7%

 영업마케팅

 70.3%

 13.6%

 0.6%

 15.5%

 사무관리

 68.9%

 18.9%

 0.4%

 11.82%

 단순노무

 60.9%

 18.8%

 3.5%

 16.8%

나이와는 상관없이 젊은 인력을 원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018년과 2017년이 왜 차이가 났는지에 대한 것을 알 수 없어 아쉽지만... 개인적으로 과·차장급 실무를 잘 할 수 있는 인력을 원한다면 40대를 원할 수 밖에 없다고 생각된다. 그 이상의 경우 실무를 알기 보다는 관리를 하는 부분으로 넘어가기 때문일 것이다.


지급한(또는 지급을 희망하는) 연봉 수준

 구분

 2000만원 내외

 3000만원 내외

 4000만원 내외

 5000만원 내외

 6000만원 내외

 -

 2018년

 27.6%

 31.5%

 21.0%

 9.4%

 7.7%

 2.8%
(7천만원 이상)

 2017년 

 24.1%

 31.4%

 18.7%

 8.1%

 3.4%

 14.3% (협의)

해당 지급 연봉 수준은 작년과 올해가 서로 비슷하였다.


2017년에 분야별 조사를 한 것을 살펴보면

 구분

 2000만원 내외

 3000만원 내외

 4000만원 내외

 5000만원 내외

 6000만원 내외

 협의

 연구기술

 7.4%

 25.9%

 26.9%

 19.9%

 6.0%

 13.9%

 생산품질

 24.2%

 41.2%

 16.6%

 3.3%

 1.4%

 13.3%

 영업마케팅

 12.9%

 29.0%

 19.4%

 9.7%

 4.5%

 24.5%

 사무관리

 17.6%

 28.2%

 27.3%

 9.2%

 5.5%

 12.2%

 단순노무

 50.0%

 32.0%

 5.5%

 0.8%

 0.4%

 11.3%

이처럼 분야별로 지급 연봉 수준이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단순 노무의 경우 2000만원 내외의 연봉수준이 반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외의 경우 3000만원 내외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중장년을 왜 채용하느냐(어떤 부분이 도움이 되느냐?)의 부분에서는 아래와 같다.

 구분

 2018

 2017

 매출 증가 원가 절감 생산성 향상

 14.0%

 14.4%

 업무 효율성 제고와 조직문화 개선

 16.1%

 17.4%

 업무 충성심 및 성실성으로 일하는 분위기 쇄신

 28.7%

 27.8%

 축적된 경험과 노하우 전수로 직원들의 업무 역량 제고

 32.5%

 30.2%

 원활한 의사소통으로 조직융화

 8.7%

 10.2%

축적된 경험과 노하우 전수가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업무 충성심 및 성실성을 가장 크게 뽑았다.


일단 업무 노하우가 얼마나 있느냐가 재취업과 관련이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중장년 채용계획 #중장년 채용인식 #40대 재취업 #50대 재취업 #60대 재취업 #중장년 재취업 #재취업 기업인식 #전경련 조사


2018/06/12 - [주저리주저리] - 은퇴 전에 해야 할 것과 은퇴 후에 할 수 있는 것...

2018/05/13 - [주저리주저리] - 돈과 시간과 노동력의 관계에 대해... (워라밸..? Work Life Balance ?)

2018/03/31 - [독서 소감] - 100세시대 부동산 은퇴설계 - 부동산 입문서로 추천합니다. (솔찍히 은퇴설계 테마는 아닌 듯...;)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