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6. 11. 08:30ㆍ주저리주저리
몇일 전 게임을 배우기 위하여 요즘 학생들이 학원에 간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취미반으로 주 1회 기준 20만원, 선수반은 50만원이라는 이야기였다.
그러면서 아나운서는 즐기려 하는 게임인데 사교육의 힘까지 빌려야 하는지 의문이라는 시각에 대해서 나는 그게 더 문제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었다.
많은 취미활동들이 사실은 좀 더 잘 즐기는 법을 배우기 위하여 학원에 가고 싶은 하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학원은 대부분 취직을 기반으로 자격증 확보를 위하여 만들어진 기관이라는 생각이 든다.
아버지께서는 은퇴 후 그림 그리는 것에 빠지셔서 여러 방면으로 학원등을 통해서 그림 그리는 것을 배워보려고 하셨지만... 대부분의 학원은 대입학원반이었다.
나이 드신 분들이 그림을 배우러 학원에 갈 수 있는 그런 시스템 자체가 안되어 있는 것이다.
그래서 학원이 아닌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문화원에 가서 배우기 시작하셨고 현재는 화가로 활동중이신 상태이다.
요리학원을 보자.
대부분 조리기능사 자격증 취득, 진학/취업/창업 이런 식으로 검색되는 것이 사실이다.
이렇 듯 취미로 배우기 위해 학원을 찾으려는 사람들이 있어도 현재의 학원은 오직 취직, 자격증을 위한 부분이다.
다행히 지자체에서 운영 또는 보조하는 문화원들이 이런 부분을 메꾸고 있지만... 사실 수준이 높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지자체마다 이러한 문화원들의 협력을 통하여 수준별 나눔을 만들고... 고급반의 경우 지자체에서 비용 지원을 더 하여 좀 더 자자체 내 주민들이 좀 더 취미를 향상 시킬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필요하지 않나 싶다.
학원 자체에 뭐라고 할 수는 없다. 학원을 만든 이유가 대부분은 사실 돈을 벌기 위함이니 말이다.
그러나 언론은 반대로 언제든 취미를 손쉽게 배울 수 있는 환경을 널리 알리고 취미도 돈을 내고 배우는 문화에 적극 동조하여 많은 이들이 문화를 창조하는 그런 우리나라가 되도록 만들었으면 하는 생각이다.
아마... 그리되면 정말 다이나믹 코리아가 될 수 있지 않을까도 싶다.
#게임학원 #학원문화에 대한 언론의 문제 #학원은 대부분 자격증 취득 #진학 취업 창업을 위해서만 학원가는건 아닌 듯 #취미로 배우기 위해 학원 찾는 사람들 #학원은 왜 있는가 #문화원 최고
2018/05/28 - [주저리주저리] - 국토연구원의 1인가구 증가에 따른 주택정책 대응방안 중 노인정책... 정말 괜찮을까...?
2018/03/10 - [재테크] - 2018년 부동산 전망
2018/03/28 - [재테크] - 2018년도 아직도 갭투자가 통할까...? (정부 부동산 정책으로 인한 다주택자를 죄면서 미국이 금리를 올린 시점에 생각해보다.)
2018/03/21 - [재테크] - 일산 집값 어떻게 될까...? (일산 부동산 호재가 있을까...?)
2018/03/23 - [재테크] - 파주 운정의 집값 어떻게 될까...? (현재 파주 운정역 및 야당역 부근에 추가 호재가 있을까...?)
2018/03/26 - [재테크] - 분당의 집값 어떻게 될까? (고공행진중인 분당의 집값. 호재와 악재 여부는...?)
2018/03/27 - [재테크] - 용인의 집값 과연 어떻게 될까? (제자리 걸음 걷는 용인 집값. 용인에 미래는 있을까..? GTX 용인 GTX 신갈)
2018/04/04 - [재테크] - 과연 서울 아파트는 가격이 떨어졌나? (2018년 1분기를 정리하며...)
2018/04/10 - [재테크] - 김포 집값 어떻게 될까? (김포 한강 신도시 미분양 사태를 보고...)
2018/04/15 - [재테크] - 평촌 집값은 어떻게 될까? (평촌의 매매가격과 전세가격 추이를 보고...)
2018/04/17 - [주저리주저리] - 남양주 다산 신도시 아파트 집값 전망... (인서울과 갈매 그리고 별내 및 구리와의 전쟁...)
2018/05/05 - [재테크] - 세종시에 정말 국회 및 청와대가 이전될까...? (세종시 집값 부동산 호재 및 악재를 분석해 보고...)
2018/04/20 - [재테크] - 셀프 등기 순서와 각자(매도인, 매수인, 중개사 등)의 준비물 소개
2018/04/25 - [재테크] - 1가구 2주택자의 양도세 중과세 회피(?)방법 중 하나... (나름 국세청 인정 절세방안)
'주저리주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라고 이야기하자. 거절하는 법과 미투운동... (0) | 2018.06.13 |
---|---|
은퇴 전에 해야 할 것과 은퇴 후에 할 수 있는 것... (0) | 2018.06.12 |
최대근로시간이 지켜지면 사회가 안정화 될 것이다. (최저임금과 같이 생각해보며...) (0) | 2018.06.09 |
부의 재분배... 낙수효과의 시작은 최저임금 인상이라 생각한다. 그러나 최저임금 통계 발표는 문재인 대통령의 실수 (0) | 2018.06.08 |
4차산업혁명 로봇세 시작 전 IT기업에 인두세 걷어야 하나...? (0) | 2018.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