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2)
-
벤처업계의 시장규제 제한에 대한 나의 생각 (카풀앱 사태를 보고...)
공유경제의 규제개혁에 대한 이야기가 자주 나온다.특히, 최근 카풀업체 풀러스의 대표가 사퇴하고 직원의 70%를 구조조정한다는 소식이 벌어지면서 규제완화를 외치고 있다. 근데, 과연 공유경제의 규제가 완화되어야 할까...? 그 근거들은 무엇일까...? 현재의 공유경제 이야기가 본격화 된 것은 승차공유 서비스 우버의 한국시장 진입으로 시작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우버의 경우 한국시장에 대한 서비스를 위하여 차량 승객에 대한 보험서비스 등의 준비가 되지 않았고 또한 기존 사업자와 상생의 길을 만들면서 가는 방법을 제시하지 않고 시작하였다.그러다보니 택시업계와 지자체의 반발이 커져버린 것이다. 공유업계가 시장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기존 시장의 종사자들을 인정하고 그 들의 밥벌이를 보전하면서 시장을 넓혀가야 하는데 ..
2018.07.11 -
4차 산업이 과연 우리를 행복하게 해줄까...? 4차 산업혁명과 직업의 의미... (사실 평생직장이란 없어진지 오래지 않나? 자율주행자동차, 인공지능, AI, 등을 바라보며..)
그 동안 나의 다른 블로그 (ITREPORT : http://itreport.tistory.com )에서 4차산업혁명과 관련하여 자료를 모아보고 분석을 해보았다.그러면서 느낀 것은 4차 산업혁명은 우리를 편리하게 해준다는 것이었다.하지만 우리를 편리하게 해주는 것과 행복한 것은 차이가 있다.4차 산업혁명 중 예를 들면 자율주행 자동차를 이야기 할 수 있을 것이다.자율주행자동차 중 가장 먼저 진입할 시장은 미국의 장거리 화물트럭으로 예상되는데 이 장거리 화물트럭 기사의 연봉은 대략 1억원을 조금 넘는다. 대신, 그만큼 살인적인 장시간 운전이 함께 수반된다.안전 운전을 위해서라지만... 자율주행자동차의 도입으로 주요 기업들은 해당 자율주행트럭을 도입 후 급한 처리를 해 줄 인력 또는 무인으로 운영 될 가능성..
2018.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