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38)
-
미국 금리 예상대로 인상, 우리나라도 결국 금리 높아질 듯 (Global Invest Bank 미국 기준금리 인상 전망을 보며...)
지난 6월 13일 미국 연방준비위원회 FOMC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하였다. 미국 기준금리 1.5%~1.75% 》 1.75%~2.0%올해 두번째 금리인상으로 글로벌 투자은행의 인상전망이 모두 맞아들었다. 미국의 인상에 반하여 한국 금리는 2017년 11월 30일 1.5%로 인하한 뒤에 미국과의 금리차이가 사실상 더 낮아진 상황이 된 것이다.게다가 미국 연방준비위원회는 FOMC 성명서에서 경제활동이 탄탄한 성장세를 보인다며 가계지출 증가세도 높아져 금리를 낮게 유지할 것이라는 문구도 삭제하였다고 한다. 그래서 올해 금리 인상 횟수 전망이 총 3~4회 정도로 전망되고 있는 상황으로 9월과 12월 더 인상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Global Invest Bank 미국 기준금리 인상 전망 JP모..
2018.06.14 -
최저임금 인상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 KDI 보고서를 보고 (개인적인 반대 의견)
KDI의 최저임금 인상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 자료를 보았다.자료보기 : 한국개발연구원(KDI) KDI FOCUS 최경수, 2018년 6월 4일 최저임금 인상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우리나라 고용노동부의 임금조사는 5인 이상 사업장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개인적으로 자영업자. 그 중 5인 이상 사업장은 그래도 규모가 어느정도 되는 사업장이다. 2-3인 사업장이 훨씬 많은 것이 사실이다. 작은 음식점들이 대부분 이 규모로 보면 된다.우리가 피부에 많이 접하는 자영업자의 사업장은 바로 2-3인 사업장이 많다보 보면 된다.5인 이상의 사업장의 경우 어느정도 시스템화로 굴러가는 사업장일 가능성이 크다.그렇기 때문에 작업장에서 한 사람을 빼고 진행한다는 것은 쉽지 않은 상황이다.그리고 5인 이상의 경우 대부분 세무사 기..
2018.06.10 -
집구매 자가 생활이면 기존 아파트 구매를 투자면 신규 아파트 분양을 노려보자. 단, 인서울만 추천한다.
서울 집 가격은 정말 계속 오르는 듯 하다.물론, 영국 런던이나 홍콩 등과 비교해 볼 때 서울의 집값은 싸다고 하지만... 그래도 비싼 것은 사실이다.제목에 인서울에 한해서만 추천하는 이유는 인서울 외에 집값은 잘해야 보합 못하면 하락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수도권의 개발호재가 있는 곳은 벌써 기존 집 구매 자체도 힘들 것이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가격보합이 아닌 상승이 주도하고 있으니 말이다.서울의 경우 하반기 보합일 가능성이 커보인다. 등락은 하겠지만 그렇게 큰 등락은 없으리라 생각한다. 그러나 금리가 오르고 대출도 점점 받기 힘들어지지 않을까 싶다.2018년 하반기는 집과 내 월급은 그대로고 나머지는 다 오르는 이상한 시기가 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그래서 나는 신혼이거나 신혼이 아니더라도 집을 처..
2018.06.04 -
서울의 집값이 방어되는 이유를 다시 생각해보자.
부동산 관련해서 특히 서울에 대해서 다시 한번 정리를 해볼만하다는 생각이 들었다.현재 집값 하락이라는 이야기가 언론에 난무하다. 그래서 더더욱 집구매를 망설이는 것이 사실이다.개인적으로 볼때는 지방의 경우 집값 하락의 폭이 있다고 본다. 서울과 수도권은 보합세를 이루면서 등락이 많을 것으로 본다. 그래서 일희일비하면 안되는 시기가 아닐까 싶다. 그래도 집구매에 한두푼이 들어가는 것이 아닌데... 이런 시기일 수록 지켜보아야 하는 것이 아닌가.. 집값이 더 떨어질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것이 아닌가라는 이야기가 나올 수 있을 것 같다.일부 서울을 제외하고 수도권의 개발호재가 있는 지역을 제외하면.. 사실 하락할 가능성도 있어 집구매를 당장 권하고 싶지는 않다.그러나 서울의 경우는 좀 다르다고 본다.서울의 집값..
2018.06.03 -
작은 평수 집의 인기는 앞으로도 계속일까...? 통계청의 장래(인구)가구추계 예상자료를 보고...
노인인구 가구자료를 찾던 중 통계청의 장래가구추계자료를 접하게 되었다.그러면서 앞으로 부부가구의 비중이 2015년 32.3%에서 2045년에는 반보다 적은 15.9%로 감소할 것이라는 이야기였다.특히, 현재 인구감소 및 저출산의 영향으로 부부와 자녀가 같이 사는 가구가 연 평균 3~5만 가구씩 감소한다고 하니 앞으로 큰 평수의 인기는 더더욱 떨어진다는 이야기가 된다.특히, 결혼연령이 높아지면서 60대이상 부부 + 자녀가구가 높아진다는 전망을 보니... 나도 뜨끔(?)하기도 하다... (결혼한지 얼마 안되어... 나도 저기에 포함되었던 것을 생각하니.. 말이다.;;;)위의 자료를 보면 현재시점으로는 40대 부부가 자녀와 사는 비중이 높으나 2025년부터는 50대 부부가 자녀와 사는 비중이 높은 것을 알 수..
2018.05.30 -
지방의 노령인구 증가... 결국 지방을 없애버릴 것이다.
어제 1인가구 관련해서 노령인구에 대해 생각을 해보니...지방노령 인구비율에 대한 생각이 들었다. 어제 써먹은 이미지를 다시 한번 더 써먹으면...노령인구의 증가는 급속히 늘어나고 있다. 위 2015년 대비 2045년 시도별 고령인구 및 유소년 인구 증감표를 보면 경기도에서 노인인구 비율의 증감이 가장 크며 그 다음이 서울 그 다음 경남의 순으로 늘어나는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특별시와 광역시를 빼면 순서가경상남도, 경상북도, 충청남도, 충청북도, 강원도, 전라남도, 전라북도, 제주도의 순으로 볼 수 있다.그럼 생산가능인구 100명당 부양인구수를 보면 전남이 117명, 강원도가 108명으로 높은 것을 알 수 있다.특히, 특별시 및 광역시는 그 비율이 크지 않으나 그 외의 지역은 매우 높은 것을 알 수..
2018.0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