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60세대가 지갑을 닫은이유...? 당연하지 않을까...?

2018. 6. 28. 08:30주저리주저리

반응형

이번달 23일 조선일보 기사인 '급증하는 5060, 그들이 지갑을 닫았다'를 보았다.


전체적인 기사 내용은 일본형 장기불황을 따라간다라고 말하고 싶은 듯 하다.

그러나 내가 느끼는 5060세대가 지갑을 닫는 이유는 다른 곳에 있다.


바로 100세 시대의 시작과 조기 퇴직붐. 그리고 아무런 준비도 되어 있지 않은 은퇴 후 미래...

그것이 5060세대가 과거 20년 전과 다르다고 봐야 할 것이다.


조선일보가 사례로 들었던 96년도는 IMF직전 소득이 높고 소비가 활발하던 때였다. 현재 대기업들은 최고의 영업이익을 내고 있으나 그것이 하청회사나 내부 직원들에게 까지 혜택이 돌아오지 않으면서... 소비는 정체되어 있는 상황이다.

지금의 5060세대는 지금까지 살아왔던 만큼 더 살아야 하며 앞으로 일어날 병마들에 대한 예방도 해야 한다.

그런상태에서 수입원에 대한 불안은 매우 클 것이다.


또한, 대기업들은 많은 물가를 끌어올렸다.

특히, 국내 자동차 판매가를 보면 너무나도 급등하여 해외 수입차와의 가격 경쟁력은 사실상 없어진 상태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자동차 내수 판매기록은 그리 참조할만하지 못하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소비재 수요감소는 위험신호이긴하다.

지금 중요한 것은 대기업에게 꿀을 더 던져주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대기업이 내부 직원에게 그리고 하청기업들에게 꿀을 나눠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모든 사람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그런 전략이 필요하다.


#5060세대 지갑을 닫은이유 #5060세대 은퇴 #20년 전과 다른 것 #은퇴 후의 삶 #소비재 수요감소 #낙수효과


2018/06/27 - [주저리주저리] - 100대 기업 '고용없는 성장' 어떻게 바라보아야 할까...? (4차 산업혁명의 미래를 생각하며...)

2018/06/26 - [주저리주저리] - 보유세 개편안의 폐자는 누구? (자가 1세대 보유 은퇴자의 문제...)

2018/06/25 - [주저리주저리] - OECD 통계 2015년 기준 산업용 로봇이 창출한 부가가치액 부문 한국 세계 최고 차지

2018/06/22 - [주저리주저리] - 우리나라도 이민을 받아들여야 한다. (세계속의 한국... 이번 제주도의 예맨 난민 사태를 보고...)

2018/06/20 - [주저리주저리] - 전경련의 2018년 중소·중견기업의 중장년 채용계획 및 채용인식 실태조사를 보면서...

2018/06/13 - [주저리주저리] - NO라고 이야기하자. 거절하는 법과 미투운동...

2018/06/10 - [재테크] - 최저임금 인상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 KDI 보고서를 보고 (개인적인 반대 의견)

2018/06/09 - [주저리주저리] - 최대근로시간이 지켜지면 사회가 안정화 될 것이다. (최저임금과 같이 생각해보며...)

2018/06/08 - [주저리주저리] - 부의 재분배... 낙수효과의 시작은 최저임금 인상이라 생각한다. 그러나 최저임금 통계 발표는 문재인 대통령의 실수

2018/05/29 - [재테크] - 지방의 노령인구 증가... 결국 지방을 없애버릴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