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대비 전세가격은 왜이리 폭등 했었을까...? (10년간의 가격상승률 자료를 보고...)

2018. 5. 25. 08:30재테크

반응형

지난주 월요일 중국으로 오면서 몸이 정상이 아니었다.

그러다 이제서야 조금씩 정신을 차리는 것 같다.

정신을 못 차리던 중 움직일 수 없으니 각종 뉴스 및 보고서를 읽던 도중 아래 그래프가 눈에 들어왔다.

몇년간 계속 이야기 하던... 전세가격이 미쳤어요.~ 이야기이다.

이런 현상은 금리와 상관이 있다.

그런데... 다들 어렵게 금리를 이야기하고 있어 좀 쉽게 풀어보고자 한다.


한국은행의 2006년말 금리는 4.5%였다. 현재는 1.5%이다.

(출처 : 한국은행 년도별 금리자료)


그럼 전세 1억원으로 세입자가 들어올 경우 벌 수 있는 금액은 얼마일까.?

1억원 * 금리 4.5% = 450만원이 된다.

여기서 세금을 제외하면 301만 5천원이 된다. 월로 나누면 251,250원.


현재 금리는 1.5%이다. 

1억원 * 금리 1.5% = 150만원.

여기에 세금을 제외하면 100만 5천원이 된다. 월로 나누면 83,750원.


과거 4.5% 금리와 현재 1.5% 금리차이를 매월 금액차로 나누어 보면 167,500원 차이가 된다. 현재 받는 금액의 딱 2배가 사라진 것이다.

지난 10년간 물가 상승률 28.3%를 생각하면 더더욱 손에 쥐는 돈의 차이가 큰 차이를 나타낸다.


그래서 기존 보상심리로 전세가격을 올리면... 전세가격은 3억원이 되어 버리는 것이다.

물론, 실제 상승률은 3배는 상승하지 못하였다. 그 이유는 집 가격 상승률이 전세가격 상승률보다는 낮았지 때문이다.

그러다보니 집 가격대비 전세가격 비율이 40%~60%에서 어느사이 90%를 육박하는 집이 나타났다.


년도별 상승률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금리 상승률

 4.5%

5%

3%

2%

2.5%

3.25%

2.75%

2.5%

2%

1.5%

1.25%

1.5%

전세가격 상승률

10.3%

2.55%

1.68%

3.39%

7.12%

12.3%

3.52%

5.71%

3.83%

5.56%

1.58%

0.46%

(출처 : 한국은행 년간 금리 및 통계청 전세가격 상승률 함께 작성)


근데 위의 표를 보면 2011년 금시 상승이 되면서 전세가격 상승이 된 것도 알 수 있다.

그 이유는 금리 상승으로 인하여 대출금 이자가 높아지면서 전세가격을 같이 올리는 일이 벌어진 것이다.

그러면서 2010년 ~ 2011년 가격이 상승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정리하면, 집값 대비 전세가격 폭등은 전체적으로 금리와 관련이 많다고 볼 수 있다. 단, 금리 상승으로 인하여 전세가격이 최고조로 올라간 2011년 이후는 집값대비 전세가격이 높아 더 이상 상승 자체는 그리 높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물론, 현재는 전체적으로 가격이 보합 또는 하락을 보이는 시기로 금리가 상승하더라도 전세가격 상승은 힘들다고 본다.

전세가격이 아파트 가격 보다는 높을 수가 없기 때문이다.

문제는. 아파트 가격의 대부분이 대출로 잡혀져 있는 집은...;; 앞으로 전세가 더욱 들어오기 힘들 것이라고 본다. (그러면...? 급매물로 바로 내놓아야 될 것이다.)


2018/05/08 - [주저리주저리] - 약 20년전 97년과 현재의 물가의 비교. 정말 많이 오른 것일까...? (그때의 급여와 비교하며

2018/05/07 - [재테크] - 서울의 아파트는 정말 가격이 떨어졌을까...? 그럼 지방은 어떨까...? 2018년 집값 동향을 알아보자.

2018/05/06 - [주저리주저리] - 서울의 인구가 줄었다. 그들은 어디로 갔을까...? (서울, 성남, 용인, 김포, 수원, 화성, 하남,, 남양주, 고양(일산)을 중심으로...)

2018/05/05 - [재테크] - 세종시에 정말 국회 및 청와대가 이전될까...? (세종시 집값 부동산 호재 및 악재를 분석해 보고...)

2018/05/04 - [재테크] - 신도시 2기 파주를 들러본 느낌... (왜이리 신도시 1기 일산의 초기 느낌이 들까...?)

2018/04/05 - [주저리주저리] - 다들 집은 언제쯤 구매들 하는가...?

2018/04/10 - [재테크] - 김포 집값 어떻게 될까? (김포 한강 신도시 미분양 사태를 보고...)

2018/04/11 - [재테크] - 분양받은 또는 구매한 집 가격이 떨어졌는데도 팔때 양도소득세가 발생할까? (양도소득세 계산법)

2018/04/16 - [주저리주저리] - 경기가 살아나려면 국가는 임대주택을 늘려야 한다.

2018/03/28 - [재테크] - 2018년도 아직도 갭투자가 통할까...? (정부 부동산 정책으로 인한 다주택자를 죄면서 미국이 금리를 올린 시점에 생각해보다.)

2018/03/27 - [재테크] - 용인의 집값 과연 어떻게 될까? (제자리 걸음 걷는 용인 집값. 용인에 미래는 있을까..? GTX 용인 GTX 신갈)

2018/03/26 - [재테크] - 분당의 집값 어떻게 될까? (고공행진중인 분당의 집값. 호재와 악재 여부는...?)

2018/03/23 - [재테크] - 파주 운정의 집값 어떻게 될까...? (현재 파주 운정역 및 야당역 부근에 추가 호재가 있을까...?)

2018/03/21 - [재테크] - 일산 집값 어떻게 될까...? (일산 부동산 호재가 있을까...?)

2018/03/16 - [재테크]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개념 및 운임요금 소개

2018/03/15 - [이런거 써봤나?] - 네이버부동산에서 매물의 지번찾아내는 방법

2018/03/14 - [재테크] - 용적률 계산 및 건폐율 계산 하는 방법

2018/03/10 - [재테크] - 2018년 부동산 전망


반응형